글 : 김순옥
이과수 폭포를 처음 접했을 때 느꼈던 경이로움을 잊을 수가 없다.
세상의 모든 사물을 집어삼킬 듯 요동치는 물길이 빚어내는 모습은
아름답다, 장쾌하다, 놀랍다 등 모든 수식어를 무력하게 만들었다.
그때 느낀 감동을 표현하기 위해
지난 수 십 년간 나의 고투(苦鬪)는 이어져 내려왔다.
즐겁고 황홀한 고투였다.
I can never forget the wonderful moment I saw the Iguasu Fall for the first time.
The sight of the fall, embracing and sweeping every object in the world, looks beautiful, splendid and wonderful, beyond any description.
From then, I was willing to put up with all the bitterness, for decades in order to express how I was touched by the natural landscape.
It was sweet and enchanting bitterness!
어린 시절에 부모님을 따라 이민 간 파라과이는 내겐 별로 달갑지 않은 나라였다.
미술에 대한 꿈을 이루기 위해서는 프랑스 파리나 미국 뉴욕에 가야 하는데, 왜 하필 중남미에서도 파라과이인지 도무지 현실을 받아들이기 힘들었다.
부모님께서 운영하시는 공장에서 단순노동을 하는 원주민들은 늘 웃는 얼굴이었다.
가끔 커다란 엉덩이를 실룩이며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그들이 우스꽝스러우면서도 한심해 보였다.
도대체 그런 일을 하면서 무엇이 그렇게 즐거운지 이해할 수 없었다.
모든 것을 외면하고 싶었던 어두운 빛깔의 시절이었다.
(중략)
한참의 시간이 흐른 뒤에서야 깨달았다.
나는 파라과이에 간 것이 아니라 커다란 대륙에 가 있었다는 것을….
아르헨티나, 브라질, 콜롬비아, 볼리비아, 코스타리카, 에콰도르….
하나의 땅으로 연결된 곳들을 마음껏 드나들며
태양이 얼마나 가깝고 여름비가 얼마나 깨끗한지,
밤하늘 은하수가 얼마나 많이 쏟아지는지,
열대식물과 사철 피어나는 아름드리 꽃나무들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폭포는 얼마나 엄청난 에너지를 발산하는지,
첨단의 과학문명도 위대한 자연 앞에서 얼마나 초라해지는지….
이과수 폭포의 우렁찬 포효가 오만했던 나를 꾸짖는 듯했다.
이젠 그들의 웃음소리를 이해한다.
다행이다.
자연이라는 스승이 있어서….
Paraguay, where I immigrated into and settled together with my parents in my youth was not such an attractive land.
Actually, I dreamt of becoming an artist, so I wanted to go to Paris, France or New York, US, and study art.
At those times, I had very hard times accepting my reality in which I had to go to Paraguay of Latin American continent which was far from the hub of art.
Doing monotonous works at the factory that my parents ran, local natives always smiled on their faces, I remember.
They looked ridiculous and absurd when people shook their hips and danced to the music.
I cannot understand why they were so happy, despite their tough works they did.
Those days were so dark for me as to feel like escaping from all things given to me.
(Skip)
As long time passed, I realized that where I'm now is not Paraguay but a large continent….
While visiting a lot of Latin American countries, such as Argentina, Brazil, Colombia. Bolivia, Costa rica, Ecuador, etc…,
I can feel vividly and acutely how dazzling the sunlights are,
how clean the summer rains are,
how luminously the stars twinkle against the night sky,
how splendid tropical plants and flowering trees blooming four seasons are,
and how indefinite energy the water fall gives.
Besides, I realized that even the most advanced science civilization looks humble when compared with the greatness of the nature.
The strong and dynamic sound of the Iguasu Fall appeared to give a very important lesson of modesty to me who was arrogant and haughty.
Now, I understand why those people smiled innocently.
It is very lucky that I have my mentor called the nature.
그토록 갈구하던 예술 활동의 근원을 발견한 그날
나의 발걸음은 떨어지지 않았다.
The moment when I discovered the fundamental essence of art that I aspired for too much, I was too touched by it to move an inch in the spot.
뱀의 신 ‘음보이(M’boy)가 만든 분노의 몸부림, 악마의 목구멍!
수백 개의 물줄기와 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접경에 걸친
광대한 면적으로 이뤄진 이과수 폭포 중에서도 가장 다이내믹하고 숨을 멎게 할 만큼 충격을 주는 곳은 ‘악마의 목구멍’이라고 불리는 곳이다.
이곳에는 슬픈 전설이 전해진다.
부족민들에 의해서 ‘뱀의 신’ 음보이에게 바칠 제물로 선정된 아름다운 처녀를 그의 연인이 구출해 도망가자 음보이 신이 분노하여 이과수강을 갈라 골짜기와 폭포를 만들고 여인은 바위로 그 연인은 팔메이라 나무로 만들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악마의 목구멍’을 보면 모든 것을 집어삼킬 듯, 질투에 눈먼 신의 분노가 생생히 느껴지는 듯하다.
The Evil's Throat, a barrage of outrages created by the Snake's God, 'M'boy!
In the Iguasu Fall across the border of Argentina, Brazil and Paraguay, with hundreds of waterfall and vast volume, the Evils' Throat is reputed as the most dynamic, breathtaking and very shocking place.
The place has a sad legend, as follows:
Once upon a day, a beautiful girl was selected by native tribes, as one living sacrifice to be dedicated to the Snake's God, 'M' boy.
As her lover rescued and escaped with her, the snake's God was so angry with it as to divide the rivers of Iquasu Water into the valley and waterfall, and made the girl turn into a tree called Palmyra.
The real sight of 'Evils' Throat brings us to feel vividly how a god, preoccupied with jealousy, expressed his anger.
남미 원주민들은 이과수 폭포를 신성시한다.
인간이 범접할 수 없는 그 절대적인 힘에 대한 순종이다.
동양화의 소재가 되는 폭포의 고아미(高雅美)와는 다른
압도적 힘이 느껴진다.
겸재 정선의 박연폭포에서 선비와 시동(侍童)은
폭포를 객체화하여 탐미(耽美)하고 있다.
반면 이과수 폭포를 마주한 인간은 저항할 수 없는 힘에 굴복하게 되고
폭포는 단순한 감상의 대상이 아니라
나를 포함한 우주 그 자체로 다가오게 된다.
Native tribes in Latin America tend to regard the Iguasu Fall as a divinity. They worshiped an almighty authority or power.
The waterfall gives an overwhelming power and pressure, different from a modest and graceful waterfall, a subject of eastern paintings.
A gentleman and a boy depicted by Jeong Seon(Gyeomjae) objectify a waterfall and appreciate the beauty.
Meanwhile, human beings who encounter the Iquasu Fall is surrendered by an irresistible power. For them, a water fall is not an object to be appreciated or relished but one to dominate over the entire universe including me.
비류직하삼천척(飛流直下三千尺)!
당나라 때 시인 이백은 여산 폭포를 바라 본 감흥을 이렇게 표현했다.
하늘 끝에서 수 만길 땅끝으로 떨어지는 듯한 수직낙하의 물길은
인간의 모든 시름과 나 자신의 존재조차도 잊게 하는 몰아의 경지로 이끈다.
Biryujikasamcheoncheok!
(The flying stream of the waterfall drops straight to thousands of feet down!)
Li Baek, a poet in the Dang dynasty depicted like this,
after looking at the Yeosan Fall.
The water dropping vertically down the end of the tens of thousands feet of the earth,
leads human beings to be enthralled by the nature,
and forget about all kinds of stresses,
and even my existence in the world.
처음 나에게 주어진 과제는
눈으로 본 이과수 폭포의 장엄한 광경을
시각적으로 캔버스 위에 재현해 내는 것이었다.
어느 정도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두자
폭포가 단순히 눈앞에 펼쳐진
시각적 경치만이 아님을 깨닫게 되었다.
수백 데시벨을 넘나드는 터질듯한 굉음,
세상 만물을 집어 삼킬듯한 물줄기를 눈앞에서 바라보는 공포감,
얼음처럼 차가운 물이 전해오는 온도감,
이 모든 것이 합쳐져 만들어내는 경외감, 무감각의 세계….
오감을 통해 전해 오는 이 모든 느낌을
한 장의 캔버스에 드러내는 것은 불가능했다.
이때부터 나는 부분과 느낌에 천착하기 시작했다.
시간과 공간에 따라 변해가는 폭포의 모습을 통하여
우주와 생명이라는 본질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전체에서 부분으로, 그리고 다시 이를 종합한
승화된 전체를 구현코자
나는 여전히 이과수를 떠나지 못하고 있다.
My first task that I have to do is to reproduce visually the magnificent presence of the Iguasu Fall observed through my eye, into a canvas.
The moment my task reaches somewhat satisfactory results, I came to realize that a waterfall is not merely a visual scenery that unfolds in presence of us.
Deafeningly louder and more vast bang and noises over many hundred decibels,
A sense of fear arising from the sight of watershed seemingly swallowing and drinking up all objects in the world,
The feeling of Cold Temperature as ice,
A sense of awe of all the objects and the insensitive world….
All the feelings and sentiments delivered through the five senses….
I couldn’t paint all of them in a canvas.
From that moment on, I began to place the stress on some partial essence and feeling.
Through the changing images of the waterfall, with time and space varying, I attempted to search for the essence of universe and life.
I can't take my eyes off the Iguasu Fall, under my wish to materialize some parts out of the total elements and in turn, higher level of totality from the parts.
이과수 폭포로 ‘김순옥 그림’의 원류를 만들고 싶었다.
그 방대한 물줄기를 모두 흡수하여 나만의 캔버스에 담고 싶었다.
의문이 나를 사로잡았다.
눈에 보이는 풍경을 넘어선 바로 그 느낌을
중남미 대륙의 정서를 공유하지 못하는 이방인으로서
훔치듯 가져가도 되는 것일까?
말도 되지 않는 욕심이 나의 예술 인자를 더욱 강하게 만들었다.
I was eager to establish Kim Soonok style through the work of Iguasu Fall.
I'm anxious to depict all imposing and grand watershed in a canvas in my own characteristic style.
At that moment, a vague idea occurred to me.
I wondered if, as a foreigner who cannot share the sentiment of Central and South America continent, I may become secretly assimilated and absorbed in the feeling that exists out of sight.
My uncontrolled desire was getting my artistic instinct stronger and stronger.
공해에 찌든 답답한 도시인의 마음을
시원한 물줄기로 씻을 수 있는
청량한 공간으로 연출되었으면….
I wish that this waterfall can create a clean and fresh space for the urban people who suffer from the stress and pollution.
혼자서 그네를 타는 무위의 시간이 멈춘 것은
천길 만길 거대한 물줄기의 생명을
죽은 듯 산 듯 캔버스에 옮기기 시작하고부터다.
시간을 견디는 번민과 좌절의 기억에서
온갖 상념을 털어낼 수 있었던 것은
수만 번, 아니 수십만 번의 붓질을 통해서부터다.
It was not until I started to paint the life of the giant and spectacular watershed with its warts,
that I stopped spending idly my most time on a swing.
Only after I drew pictures using tens of thousands brush movements, I could get all kinds of anxiety, frustration and disappointment off my chest, and overcome very painful memories of it.
그림은 내게
자유로운 삶의 표출이고
본능이다.
내가 나일 수 있게
나답게 만드는 것이 그림이다.
나를 살아있게 한다.
Painting is an expression of a free life,
and instinct itself, for me.
Painting makes me become myself and form myself as I'm.
Painting makes me breathe.